내가 설명할 0제곱이 1인 이유는 중1만 되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야 소인수분해할 때 음.. 288=2의 5제곱 × 3의 제곱인데 288에 5가 없으니 5의 0제곱, 7의 0제곱, 11의 0제곱인데 이때 0제곱이 0이면 288=2의5제곱 × 3의 제곱 × 0 × 0 × 0이니까 288이 안 되는데 0제곱이 1이면 288이 되니까 0제곱은 1이야!! 이미 다 아는 사실일 수 있지만 한 번 적어놨어ㅎㅎ
어떤 수 x를 n번 곱한걸 x^n으로 표시하잖아 이때 a^n/a^n을 a^(n-n)으로 계산 알 수 있어야하는데 a^0이 1이 아니면 논리적으로 성립이 안 되어서 정의를 해버린거임 2^2=4는 정의가 아님 으로 알고 있음 얕은 지식이라 확신까진 못하겠다 의문 생기는 부분 있으면 알려줘!
n^0이 무엇을 뜻해? n을 0번 곱한거잖아 그러므로 n^0은 계산해서 1이다! 라고 말하는게 아니라 앞서 너랑 내가 말한 지수 법칙을 적용하는데 n^0이 1이 아니면 같은 수를 나누는 과정을 지수법칙으로 해결했을때 1이 나와야함에도 1이 나오지 않는 오류가 발생하기에 n^0을 1로 '정의'한거임 지수법칙을 성립하도록 정의 했기 때문에 지수법칙을 통해 1인 것을 보일 수 있는거고
난 중학교 때 학교쌤한테 이렇게 배웠음(그냥 미리 참고하라고 알려주셨던 거) 5로 예를 들면, 5의제곱은 1에 5를 두번 곱하는 것. 모든 수는 n제곱할 때 1에 그 수를 n번 곱하는 거임. 그런데 5의 0제곱이면 1에 5를 0번 곱하는, 즉 안 곱하는 거임 그래서 1이다~~ 라는 말!! 나도 이거 듣기 전까지는 선행할 때 그냥 외웠는데 솔직히 외우는 게 효율적인 건 맞지만…. 원리를 알고 싶다면 내 글도 봐줘><
지수법칙을 배우지 않은,곱하기에 ×1이 생략되어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한 제 머리속에서 나온 x⁰=1(단, x는 0이 아닌 자연수)인 까닭은 6=2와 3의 곱이고 만약 5,7,11을 집어넣는다면 6=2×3×5⁰×7×11⁰인데 이때 x⁰이 1이 아니라면 위 식이 성립되지 않아서 x⁰이 1이라는 거였습니다!
식 자체가 틀린 건 아닌데 저 식이 증명이 될 수 없어요 6=2x3x5^0x7^0x11^0 n^0=1 이라는 사실을 모른다고 가정한다면 위 식이 성립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애초에 이 식은 어떤 수의 0제곱은 1이다라는 것을 알고 있어야지만 성립한다고 말할 수 있어요. 따라서 증명이 될 수는 없습니다
6=2×3이죠. 즉 6은 5를 인수로 가지지 않습니다. 인수로 5를 가지지 않는다는 건 인수에 5가 0개라는 뜻이고 이는 5⁰이 있다는 뜻이죠. 즉 6=2×3×5⁰인데 어떤수가 곱해져있을 때 그 값이 변하지 않는 경우는 1밖에 없으므로 5⁰=1이다. 이렇게 설명할 수 있지 않나요??
288=2⁵ × 3² 288을 소인수분해 하면 소수는 2, 3이 나오며 288은 2를 2번 3을 2번 곱한 수라 할 수 있다. 288처럼 합성수인 4를 소인수분해 했을 때, 4의 소인수는 2가 나온다. 4=2²
2¹×2¹=2², 2²÷2¹=2¹ 처럼 밑이 같은 수끼리 곱했을 때 지수끼리 더해진다. 또 나누면 지수끼리 뺀다. 12=2²×3¹ 일 때 3¹로 나누면 3¹÷3¹=3⁰으로 4=2²×3⁰ 이 된다.
모든 소수를 한 번씩 곱한 어떤 수 x가 있다고 해보자, x=2¹×3¹×5¹×7¹×11¹×··· 여기서 2¹을 곱하고 나머지 소수는 전부 한 번씩 나눈 수를 y라 하면 y=2²×3⁰×5⁰×7⁰×11⁰×··· 이 된다. 이때 2를 제외한 모든 소수를 한 번씩 곱하고 나눴기에 3⁰을 포함해 소수⁰은 1이 되고, y는 4가 된다.
한 번도 곱하지 않았으니 수⁰은 0이 아닌가? 했을 때 3⁰, 5⁰, 7⁰, 11⁰이 0이라면 모든 수는 0이 되어야할 테니 수⁰은 1이라는 말인 것 같다.
이게 증명이라기보단 x⁰=1이라는 것에 대한 이해 방법 (x¹÷x¹=x⁰, 2-²=1/4 2‐¹=1/2 2⁰=1 2¹=2 등등) 중 하나가 아닐까 싶네요.
뭔말일까요
6에는 5가 없으니까 0제곱이잖아요? 0제곱이 1이어야 2×3×1=6이 됩니다
아 저 애기라서 제곱을 몰라욜
초5 애기는 지나갑니다
응 애기 아니야
그런가 ㅎ
해당 댓글은 운영정책 위반으로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죄송해요..
머저리라뇨ㅠ
뭐라고 했길래....
그걸 왜 곱해..
맞긴 한데?
뭐래
증명을 위해 임의로 표현한거잖아
공부다시배워라
공부 다시 배워라? 공부 뒤에는 하다가 붙어야 하는데
증명을 위해 임의로 표현한것과 상관없이 틀림
님 학력이어케 되세여
뭐가 틀렸는데
고딩
288에 5가 없다-> 5의 0제곱이 1이다
여기서 틀림
왜 틀린건데ㅋㅋㅋㅋ 5의 0제곱은 1이여서 포함된건 맞아ㅋㅋㅋ 그냥 288에 1이 포함되어있다는 소리인데 이걸 이해못하고 학력이 뭐니 공부를 다시배우니 하냐.... 너나 이해력 키워라
혹시 또 이해 못할까봐 더 쉽게 말하자면0을 제외한 수의 0제곱은 1인데 2는 2×1로 표현이 가능하고 1=5^0이니 2=2×5^0이란 소리임
귀찮은 식이 포함되며 증명도 제대로 되지 않지만 틀렸다고는 못하는거임
시발니한테한말도아닌데개풀발이야
공부 못하고 성격도 안 좋네ㅋㅋㅋ 살살 긁으니까 바로 욕 싸지르죠?
?? 2⁵는 2를 다섯번 곱한 것 뿐인데 왜 갑자기 5⁰=1이 나옴?
2×5^0은
2곱하기 5의 0제곱이란 뜻임
2를 다섯번 곱한 행위가 288이 숫자 5를 인수로가지지 않는 거랑 어떤 연관이 있는지?
^ 기호는 제곱을 표시함
× 기호랑 ^ 기호 제대로 보셈
긁힌것도 아니고 그냥 아무 생각 없는데연ㅜ 본인한테 한 말도 아닌데 나한테 지랄하니까 반박한거잖아
내말이 그건데 ㅋㅋㅋ
아무 의미도 없고 논리적이지도 않은 욕질을 반박이라 하는 애면 어떨지 눈에 훤하네
내가한말 아닌건 알지?
ㅇㅇ 닉넴 제대로 보고있음 두명이 쓴것도 알고
그리고 그냥 틀린거임 ㅇㅇ
ㅇㅋ
ㄴㄴ 틀린거는 아니라니까 증명과정이라고는 못하지만 식은 틀리지 않음
증명과정이 틀림
5를 인수로 가지지 않는다->5⁰=0이다
ㅇㅇ 그건 ㅇㅈ
가 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음
5⁰=1이다 수정
ㅇㅇ 증명으로 옳지못한건 인정
아무 댓글이나 다 알림이 오니까 ㅈㄴ 헷갈리네 나한테 한 말인지 아닌지 구분을 못하겟다걍 공부다시배우라는 말을 누구한체 했건 그냥 다 알림이 가는구나
5를 인수로 가지지 않는다-> 5가 0개다 -> 5⁰이 있다 그런데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5⁰=1이라는거 같은데
5가 0개다->5⁰이 있다 가 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음
무슴말인지는 알겠다고 ㅋㅋㅋ
근데틀림
5가 1개 있으면 5¹, 5가 2개 있으면 5² 이런거처럼 5가 0개면 5⁰이랑 같지
그니까 틀린게 아니라고ㅋㅋ
저기서 있다는게 인수로 있는지 없는지 말하는 거 잖아
내말은 증명할때 288은 32×9인데 왜 5에 대해 갑자기 언급하냐고
2⁵에서 갑자기 5에 꼬리잡고 물어지는거가 이상한 증명이라고
2를 다섯번 곱한거랑 5를 인수로 가지는거랑은 아에 다른 이야기라고 ㅋㅋ..
288이 5를 인수로 안가지지? 그럼 인수로 5가 없다는 거고 0개라는 거네-> 5⁰이 있다는거고 어떤 수가 존재하는데 수식이 영향을 안주는 경우는 1밖에 없으므로 5⁰=1이네
아..그러나까 이해가 되네
뭔 소리야 288= 2의5제곱×3의제곱×1×1×1 이겟지,,, 0을 곱하는 순간 그 숫자는 0이 되버리잖아..
내가 한 말이 그건데?
고래 개웃겨 ㅋㅋㅋ 자기딴엔 반박했는데 결국 글쓴이랑 똑같은 의견이야 ㅋㅋㅋ
설마 0⁰ 말하는 거니..?
0⁰을 말하는 거야 아님 0²를 말하는 거야...
2의 0제곱 3의 제곱 등등...이요
아 알겟다 x⁰ = 1 말하려던 거엿구나ㅋㅋㅋㅋㅋㅋ
아 네네네
이게 뭔소리지..
ㄱㄴㄲ유
지나가던 수학과 24학번인데 걍 x⁰=1을 쓸데없이 복잡하게 적어놨구나
아 그러네요 감사해요!
근데 참고로 x가 0인경우엔 성립 안된다
아아 감사해요!
참고로 저거 고2때 수1 제일 첫단원에서 배운다
어 진짜요??
여러가지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중등에도 나와
아 중2인가요?
중등에서 본 적이 없는데..?
중1 1단원 아닌가..?
수학교육과십니까?
0이 아닌 자연수를 x라고 할 때,
x⁰이 0이라면
2⁵×3²×5⁰×7⁰(288)이 0이 되는데,
x⁰이 1이라면
32×9×1×1=288이 된다라는 뜻이었어요..!
없는걸 왜 포함시킴
뭔
임의로 표현한거지
근데 x^0=1 말고도
다른건 확인안함??
x^0=0인거 말고도
2일때 3일때 4일때 등 실수 전 범위에서 성립해야하는거아니야?
사랑받는순록 님 똑똑하시네요
저는 아직 그 정도가 아니어서요. 저를 수학자로 싱각하지 말아주세요..
어떤 수식에서 수가 있는데 영향을 안주는 경우는 1 밖에 없으니까 n⁰=1이라는 결론이 금방 나옴
그냥 외울게
그냥 지수법칙 나누기 생각하면 되는디
최대한 어린 사람도 이해할 수 있게 하려고요,
!
지수법칙이 이해하기 훨 쉬워요
지수법칙을 안 배워서 죄송합니다
저 초6이고 좀전에 학원에서 소인수분해 나갔거든욘..!! 김사합니당 예습하네요👍
헐 감사해요♡ 열심히 하세요,
!
? 믿지 마세요 이거 믿으셨다간 시험 점수 파탄납니다
왜..왜요?ㅜㅜ
이거 글쓴이가 잘못 알고있는거에요
이거 진짜 아니에요
ㅠㅠ
죄송해요.. 제가 어려서ㅜㅜ
아녜요 아녜요 괜찮아요ㅠㅠ
아 진짜요..?? 알겠습니다..!! 쓰니분도 설명 잘 해주셨어요!
뭔 헛소리야 라고 하면서 제가 멍청하단걸 깨닫습니다
제가 어지럽게 써놓아서 그래요..!
솔직히 깔쌈하게 써놓으셔도 몰라용 히히
그냥 이론상으로는 맞는말임
7⁰
7¹-¹
7¹×7-¹
7¹× 1/7
7/7 = 1
이런느낌임 (7-¹ 은 1/7 이다)
그런 것 같네요?
오 이렇게 생각 안 해봤는데!!
나도 저게 논리적으로 성립이 안되니까 x^0(단 x는 0이 아닌 상수)을 따로 정의한거라고 알고 있음
고정댓글이요,
!
왜 논리적으로 성립이 안되냐?
어떤 수 x를 n번 곱한걸 x^n으로 표시하잖아 이때 a^n/a^n을 a^(n-n)으로 계산 알 수 있어야하는데 a^0이 1이 아니면 논리적으로 성립이 안 되어서 정의를 해버린거임 2^2=4는 정의가 아님
으로 알고 있음 얕은 지식이라 확신까진 못하겠다 의문 생기는 부분 있으면 알려줘!
테일러 급수 관해서 정리하기도 하는데.. 내가 설명까지 하기에는 어렵다🥲
logx¹=0 끝
....? log_x(1) 말하는거지?
그게 저 정의 때문에 그렇게 되는거잖아
a^(n-n)=a^n/a^n=1 임
a^(-n)은 1/a^n 이니까
그...걸 앞에서 말한건데..?
논리적으로 왜 설명이 안되죠?
n^0이 무엇을 뜻해? n을 0번 곱한거잖아
그러므로 n^0은 계산해서 1이다! 라고 말하는게 아니라 앞서 너랑 내가 말한 지수 법칙을 적용하는데 n^0이 1이 아니면 같은 수를 나누는 과정을 지수법칙으로 해결했을때 1이 나와야함에도 1이 나오지 않는 오류가 발생하기에 n^0을 1로 '정의'한거임 지수법칙을 성립하도록 정의 했기 때문에 지수법칙을 통해 1인 것을 보일 수 있는거고
지수법칙으로 가능하지않나요
x^(0 + n) = x^n = x^n × x^0
지수법칙으로 인해 x^0이 1인게 나왔으면
x^0=1이라고 정의를 내렸다기엔 좀 그런데요
난 수학쌤한테 이렇게 들음...
아 논리적 오류가 지수법칙 이전 단계면 그렇긴하네요
솔직히 정의 내린거긴해도 경우에 딱 맞아서 들어본적 없고 제시된 순서를 모르면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고 봄 나도 당연하다고 생각했었던거라
?그냥 0제곱=1이라고 외우면 되는데 왜 이런짓을..
제가 원리를 중요하게 생각해서요..!
제곱의 개념만 이해하면 알 수 있는 정말 쉬운 문제...
n의 m제곱은 1에 n이라는 수를 m번 곱하는 것을 뜻한다.
즉, n의 0제곱은 1에 n을 0번 곱하는 것이기 때문에 1이다.
5⁰=7⁰=11⁰=1인데..
0제곱은 0아님?
1이라고 햐서 제가 그 이유를 생각해봤어요!
아ㅅㅂ 0의 제곱이 아니라 x의 0제곱이네
난 중학교 때 학교쌤한테 이렇게 배웠음(그냥 미리 참고하라고 알려주셨던 거)
5로 예를 들면, 5의제곱은 1에 5를 두번 곱하는 것. 모든 수는 n제곱할 때 1에 그 수를 n번 곱하는 거임. 그런데 5의 0제곱이면 1에 5를 0번 곱하는, 즉 안 곱하는 거임 그래서 1이다~~ 라는 말!!
나도 이거 듣기 전까지는 선행할 때 그냥 외웠는데 솔직히 외우는 게 효율적인 건 맞지만…. 원리를 알고 싶다면 내 글도 봐줘><
오!! 그 쌤 좋으시네요
감사해요
오잉 난 보자마자 이해했는데 다들 이걸 이해 못하네…? 작성자도 쉽게 알려주고 싶어서 적은 글일텐데 왤케 싸가지없이 말하는 애들이 많지?;;; 나 중3인데 다시 한번 알려줘서 고마웡
감사해요 중3도 이해가 된 글이었다니!
좀 많이 돌아가네ㅔ
음 좀 신박한듯?
감사해요
좋은 말인 것 같아!!
나는 곱셈의 항등원이 1이니까 0제곱을 1로 둔 게 아닐까 생각했어
감사해요!
가정 자체부터 잘못됨
x⁰=1(단x는 0이아니다)
이거 말하는거지?
네!
현 고3
원리는 아무도 안가르쳐줘서 지금껏 그냥 외워오기만 했는데 내용 좋당 고마워ㅓ
감사해요
그...나중에 강사는 하지마..
엇..
친구야 이건 증명이 아니라 그냥 1을 다른 식으로 곱했다고 얘기만 하는거야..
중 2, 이해 못함
흑흑.. 내년에는 설명 능력 키워올게요..
시험 기간인가요..?
아 모고 망하신건가.....?...
화이팅 하십쇼
네?? 저 아직 중1이라서요.. 많이 이상한가요?
아하..
이상하다기보단
쓸데 없는걸 고민하길래 뭔가 인생 살이가 팍팍한가 했습니다...고삐리가 깝쳐서 미안해요...
그냥 면학 시간이나 그런 생각을 자주 해서요..
근데 중1이 이런 생각 하는거면 공부 잘할듯
기말 공부에 미친자의 헛소리구나ㅋㅋㅋㅋㅋㅋ
죄송해요 고등학생에게믐 그렇게 보이시는 구나..
아 댓글보고 이해했어ㅠㅋㅋㅋㅋㅋㅋㅋ
아 감사해요!
우리는 어떤 수를 계산할 때 무조건 ×1이 있는데 생략하잖아
ex)2+1=(2×1)+(1×1)처럼
그러니깐 0⁰도 0⁰×1인데 0⁰은 0을 0번 곱하는거기 때문에 없는거나 마찬가지라서 0⁰=1이라고도 생각해
제가 미처 그 생각은 하지 못했네요
뭐 사람마다 생각하는데 다르니깐 그럴수 있지
난 이 방법이 더 잘 와닿아서 이렇게 생각하는거 뿐이야
1을 곱하는 걸 생략하는 방법이 더 이해하기 쉬운 것 같아요!
지수법칙으로 바로 해결되는데 굳이 그렇게..
아직 제가 못 배웠어요ㅜㅜ
a의 0승 배우기 전에 지수법칙을 먼저 배우는데? 교육과정상 말이 안됨
중학교때까지는 지수에 들어가는 숫자가 양의 정수로 한정되어있다가 고1때 유리수로 확장되면서 지수가 0인 수가 나오는거야..
정보시간에 배워가지고..! 그리고 유튜브나 그런데에도 나와있어서 의문을 가졌었어요..!
어...맞네?
감사해요
그냥 보면 헛소리인데 자세히 보면 맞는 말임 ㅋㅋ
어.. 그렇군요!
a⁰=1이라는 걸 수학적으로 계산한게 아니라
그냥 사회적으로 약속한 거에요.
그렇게 정해놔야 모든 지수 계산이 성립되니까.
본문에 적어놓으신 글은 본질을 이해한 후 부가적인 설명을 할 때 쓰면 괜찮을 거 같아요
나중에 더 배우면 써먹어 봐야겠네요!
맞는데?
감사해요
내가 이해 못 하는 게 정상인 글이지?
0.99999999999...n = 1이런겅가 ㅎㅎ
아마도요..?
아 이 양상을 글 올린 후에 봐서..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뭔 개소리야 에초에 저기에 0을 곱하면 안되지
0을 곱하면 안 되니까 1이라는 겁니다!
아니 지금 0²이 1이라는 말을 하려는거야?
고정댓글이요!
아니 고댓도 틀렸는데
어 네?
0²은 1이 아니라 0이야...
0²라는 말을 쓴 적이 없고요! (0이아닌 자언수 x)⁰이었어요
아하 ㅇㅋㅇㅋ
그러면 차라리 x²÷x²은 지수법칙으로 x⁰인데 (같은수) ÷ (같은수) =1이므로 x⁰이 1인거라고 설명하는게 더 정확하지
지수법칙을 안 배워서 몰랐어요..!
그럼 이걸 논할수가 없는뎅...
나는 더하기에서의 기준점은 0이고 곱하기에서의 기준점은 1이라고 생각하고 항상 어떤 수를 제곱 할 때마다 2²=1×2×2 이런 식이라서 2⁰=1에 2를 0번 곱했다 이런식으로 생각했었는데
저는 ×1을 상각 못했어요
그런데 0⁰은 1이 아닌 이유는 다른 수들은 1을 곱할때만 그 수가 변하지 않지만 0은 어떤 수를 곱하든 0이라서 0²=2×0×0이런식으로 1대신 어떤 수를 넣든 상관이 없어서 0⁰은 특정할 수 없다 라고 생각했어 물론 이게 진짜 맞는 해석인진 모르겠지만..
뭐라는거야?;;
머라는겨
네..?
와! 예습 땜에 킹받는데 제곱(참 자 참아 빡침)
뭐라냐
6월 평가원 백분위99인데 이해포기
쓰니야 너가 한말이 틀린게 아닌데 저거 증명방법은 저게 아니야..
그냥 제 머리속에 있는 생각이었어요...
뭔 소리여 이게
우문현답이네
ㅇ왜..왜요?
?
?;
중2인데 못알아듣는 저는 멍청한걸까요 수학포기해야 할까요.....😱🥺
고3인데 살면서 0제곱이 1인 이유는 처음 들어봐요.
그 지수법칙? 그거도 있고 여러가지 있지 않나요?
지수법칙은 여러가지 있어요.
모든거에 0을 곱하면 어찌됬든 답은 0 아니야? 제곱도 1이니까 곱해지는거잖아
나만 이해되는건가…
0을 곱했는데 어떻게 288이 나옴?
지수법칙을 배우지 않은,곱하기에 ×1이 생략되어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한 제 머리속에서 나온 x⁰=1(단, x는 0이 아닌 자연수)인 까닭은
6=2와 3의 곱이고
만약 5,7,11을 집어넣는다면
6=2×3×5⁰×7×11⁰인데 이때 x⁰이 1이 아니라면 위 식이 성립되지 않아서 x⁰이 1이라는 거였습니다!
식 자체가 틀린 건 아닌데 저 식이 증명이 될 수 없어요
6=2x3x5^0x7^0x11^0
n^0=1 이라는 사실을 모른다고 가정한다면 위 식이 성립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애초에 이 식은 어떤 수의 0제곱은 1이다라는 것을 알고 있어야지만 성립한다고 말할 수 있어요. 따라서 증명이 될 수는 없습니다
어.. 제가 너무 논란될 만한 글을 썼네요..
6=2×3이죠. 즉 6은 5를 인수로 가지지 않습니다. 인수로 5를 가지지 않는다는 건 인수에 5가 0개라는 뜻이고 이는 5⁰이 있다는 뜻이죠. 즉 6=2×3×5⁰인데 어떤수가 곱해져있을 때 그 값이 변하지 않는 경우는 1밖에 없으므로 5⁰=1이다.
이렇게 설명할 수 있지 않나요??
2¹ = 2³ ÷ 2²
2² = 2³ ÷ 2
2⁰ = 2² ÷ 2² => 분모분자 같으므로 1
감사해요 그런 방법도 있네요!
엄청 복잡하게 설명해놨네..x⁰=1이라고 하면 되잖아 댓글들 다 못알아듣는구먼
고정댓글에 써 놨어요..
이게 뭔 말같지도 않은 소리니 친구야ㅋㅋㅋ
고2인데... ?
초5 지나가요
지나가던 문과입니다. 무슨소린지 모르겠습니다
미안한데 이게 뭔 소리야 ㅜ
2의 제곱이 4고 세제곱이8이듯이 그전거에 2씩 곱하면 되니까 뒤로가면서 2씩나누다보면 1나와서 0제곱이 1아니야..?
음.......이해 진짜 안된다.... 그리고 간단하게 적을수있는 문재인데 왜이렇게 복잡하개 핸핬냐
그렇다면 고정댓글 봐주세요
288=2⁵ × 3²
288을 소인수분해 하면 소수는 2, 3이 나오며 288은 2를 2번 3을 2번 곱한 수라 할 수 있다.
288처럼 합성수인 4를 소인수분해 했을 때, 4의 소인수는 2가 나온다. 4=2²
2¹×2¹=2², 2²÷2¹=2¹
처럼 밑이 같은 수끼리 곱했을 때 지수끼리 더해진다. 또 나누면 지수끼리 뺀다.
12=2²×3¹ 일 때 3¹로 나누면
3¹÷3¹=3⁰으로
4=2²×3⁰ 이 된다.
모든 소수를 한 번씩 곱한 어떤 수 x가 있다고 해보자,
x=2¹×3¹×5¹×7¹×11¹×···
여기서 2¹을 곱하고 나머지 소수는 전부 한 번씩 나눈 수를 y라 하면
y=2²×3⁰×5⁰×7⁰×11⁰×··· 이 된다.
이때 2를 제외한 모든 소수를 한 번씩 곱하고 나눴기에 3⁰을 포함해 소수⁰은 1이 되고, y는 4가 된다.
한 번도 곱하지 않았으니 수⁰은 0이 아닌가? 했을 때
3⁰, 5⁰, 7⁰, 11⁰이 0이라면 모든 수는 0이 되어야할 테니 수⁰은 1이라는 말인 것 같다.
이게 증명이라기보단
x⁰=1이라는 것에 대한 이해 방법
(x¹÷x¹=x⁰,
2-²=1/4
2‐¹=1/2
2⁰=1
2¹=2 등등)
중 하나가 아닐까 싶네요.
엄청 어렵네요.. 저는 증명?이라고 한 적이 없는데 자꾸 증명이라고 하시네요.. 이햐 방법 맞아요!
초딩 손🖐
애초에 0제곱이 1인게 쉽게 생각하면
2⁰
2¹=2
2²=4
2³=8
여기까지만해도 x2씩 된다는 걸 알수있고 반대로 ÷2씩 하면 결국 1이 되잖슴
그걸 몰랐어요..
아이고..
쓰니야 숫자 꾹 누르면 제곱할수있어
1⁸
아 제가 네이버 키보드에서 저 글을 써가지고 안 되요!
지금은 제곱 때문에 바꿨ㅇ어요
뭔 병아리가 어흥하는 소리야
적느라 수고했어
헠ㅋㅋㅋㅋㅋ
중1인데 뭔말인지 몰갯어
엇 그래? 나중에 지수법칙에서 배운대
저기 미안한테 0제곱은 0번 제곱하는거지 0을 곱하는게 아니잖아? 그니까 0번 제곱이니까 그 수 그대로 있는거자너
0제곱이 (0이 이닌 자연수의) 0제곱이었어요.. 혼란스럽게 하서 죄송합니다
?
와…. 이과생……
뭐 문ㄱ가는 아니죠..?
문과쪽쯤?? ㅎㅎㅎ
?
ㅖ? 고딩인 난 모르는.. ^^;;
잼민이는 이런거몬라!!
로그인 후 댓글을 입력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