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점에서 만난다랑 접한다는 따지고보면 같지 않으니접한다의 엄밀한 정의를 알아오라는데.. 이거 어카냐ㅜㅠ(사진보면 한점에서 만나지만 접하진 않
그 미분계수 이용하는건데 정확히는 생각이 안 나.. 그 점에서 미분계수랑 기울기랑 같은거였나
미분계수=접선의 기울기
고2인데 미분 2학기에배워서 아직 몰라ㅜㅠ
극한은 배웟음?
안배워ㅛ러ㅠㅠ
흠.. 그럼 어케해야되지
할선은 알아?
학원에서 하긴 했는데 교육과정에서 빠져서 대충했어요
일단 할선은 그래프와 두 점에서 만나는 선인데
그 두 점을 각각 P, Q라고 하면 P가 Q에 한없이 가까이 다가갈 때 그 할선을 접선이라고 부르거든
근데 이것도 극한의 개념이 사용돼서..근데 접선을 설명하려면 극한이 사용될 수 밖에 없는듯?
아ㅜㅠㅠ 알겠습니다 감사해요
인터넷에 극한쳐서 대충 요렇게 하긴했는데 맞을까요??ㅜㅠㅠ
옙 맞는 것 같네요
화이팅하세요❗️
감사합니다!!
고등학교 가면 저런 수행도 보는군요..
수행은 아니고 세특용과제예요!!
접하는 건 함수 값이랑 접선의 기울기가 같아야 되는 겅 ㅏ냐?
누가 아니라고 했는데 왜 아니야???
?
로그인 후 댓글을 입력해 보세요
우리반 시간표 바로 확인하기
학교/학원정보, 커뮤니티도 더 편하게!
그 미분계수 이용하는건데 정확히는 생각이 안 나.. 그 점에서 미분계수랑 기울기랑 같은거였나
미분계수=접선의 기울기
고2인데 미분 2학기에배워서 아직 몰라ㅜㅠ
극한은 배웟음?
안배워ㅛ러ㅠㅠ
흠.. 그럼 어케해야되지
할선은 알아?
학원에서 하긴 했는데 교육과정에서 빠져서 대충했어요
일단 할선은 그래프와 두 점에서 만나는 선인데
그 두 점을 각각 P, Q라고 하면 P가 Q에 한없이 가까이 다가갈 때 그 할선을 접선이라고 부르거든
근데 이것도 극한의 개념이 사용돼서..
근데 접선을 설명하려면 극한이 사용될 수 밖에 없는듯?
아ㅜㅠㅠ 알겠습니다 감사해요
인터넷에 극한쳐서 대충 요렇게 하긴했는데 맞을까요??ㅜㅠㅠ
옙 맞는 것 같네요
화이팅하세요❗️
감사합니다!!
고등학교 가면 저런 수행도 보는군요..
수행은 아니고 세특용과제예요!!
접하는 건 함수 값이랑 접선의 기울기가 같아야 되는 겅 ㅏ냐?
누가 아니라고 했는데 왜 아니야???
?
로그인 후 댓글을 입력해 보세요